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친환경스마트폰
- 강화요양병원
- 김영명대표이사
- (주)유디유소프트
- esg스마트폰
- 예명대학원대학교
- 신개념폰
- 오렌지d카페
- 기자양성교육
- 포노 사피언스
- 이성상대표이사
- ㈜맥스젠테크놀로지
- 김영수대표이사
- 선주성교수
- 소소생생
- (주)소소생생
- 강남구 소비자저널
- 박연희대표
- 업무협약
- 디자인스마트폰
- 유디유 소프트
- 치매안심카페
- 김영명대표
- (주)맥스젠테크놀로지
- 주식갖기운동
- 광주시
- 김은정대표
- 치매인식개선교육
- 소소생생기자단
- 치매예방교육
- Today
- Total
정브레인 힐링연구소
임해영 교수 신간 『중독된 그녀들』, 여성 중독 회복의 새로운 지평 열다 본문
[강남 소비자저널=정현아 기자]
『중독된 그녀들: 탐닉의 늪에서 탈주하기』 출간
– 여성 중독 회복의 실체와 희망을 담은 새로운 시선
2025년 4월 10일,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임해영 교수를 비롯한 최미경, 강선경 교수가 공동 집필한 『중독된 그녀들: 탐닉의 늪에서 탈주하기』(출판사 드루)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중독이라는 주제를 여성의 삶과 연결 지으며, 그동안 사회적 논의에서 소외되었던 여성 중독자의 목소리를 조명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마약, 도박, 알코올, 쇼핑, 성형, 성중독 등 다양한 중독에 노출된 여성들의 사례는 쉽게 접할 수 있으나, 그 실질적인 원인과 회복의 길을 다룬 전문 서적은 드물다. 『중독된 그녀들』은 네 명의 여성 회복자들의 자전적 서사와 저자들의 심층 연구를 바탕으로, 여성 중독이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구조 속에서 발생한 복합적 현상임을 드러낸다.
임해영 교수는 “이 책은 중독에 빠진 여성들을 낙인이 아닌 공감의 시선으로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회복은 단순히 끊는 것을 넘어, 다시 살아갈 힘을 회복하는 과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 책은 중독 이후의 삶을 재구성해 나가는 여정에 주목하며, 회복 이후에도 이어지는 사회적 고립과 역할 기대, 그리고 심리적 불안정에 대해 세심하게 분석하고 있다.
저자들은 사회복지 및 중독 회복 분야에서 풍부한 현장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단순한 사례 나열이 아닌 깊이 있는 분석과 서사를 엮어냈다. 회복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이며, 그 안에는 여성에게만 가해지는 이중의 낙인과 돌봄의 공백이 놓여 있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풀어낸다.
이 책은 중독에 관한 기존의 남성 중심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돌아보며, 여성 회복자들의 목소리를 중심에 두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특히 “중독 이후에도 삶은 계속된다”는 관점에서 회복을 다시 정의하며, 중독의 끝이 아닌 새로운 삶의 시작을 보여준다.
『중독된 그녀들』은 중독 문제에 관심 있는 독자는 물론, 사회복지 실천가, 상담가, 연구자들에게도 깊은 울림과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강남구소비자저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립광지원농악단, 제7회 정기공연 「도(陶) 자(瓷) 락(樂)」 개최 (0) | 2025.04.15 |
---|---|
광주시 오포1동, ‘오포 돈豚 드림’ 업무협약 체결 (0) | 2025.04.15 |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학생들, 폐지 줍는 어르신 도와…따뜻한 감동 전해 (0) | 2025.04.12 |
서울 구로구 예스 착한안경, 40주년 기념 이벤트 진행 (1) | 2025.01.14 |
경찰 한종철의 발자취 “사명과 소통으로 빚어낸 2024년의 빛나는 여정” (8) | 2024.12.16 |